[보도자료]190720 미디어연대 성명《정치권은 공영방송 KBS를 공영으로 놓아 주어야 한다》
“KBS 사장 등 간부들, 한국당 로고 방송 책임에 즉각 퇴진하고,
정치권은 총선 전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개편, 국민에게 돌려 줘야“
KBS가 지난 7월 18일 <뉴스9>의 ‘반일 불매운동’ 보도에 ‘자유한국당’과 ‘조선일보’를 포함시킨 사안은 대단히 심각하다.
국민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이 대놓고 공당(제1야당)과 주요 언론에 대해 국가적 사안과 연계한 국민선동적, 명예훼손적 행위를 했기 때문이다.
국민의 반일감정을 자극하면서 이들 정당과 언론을 작위적으로 묶어 매도했다는 점에서 공영언론으로서는 해서는 아니될 정파적 보도, 나아가 국민분열적 방송을 했다.
KBS가 현 정권 들어 ‘공산당 찬양’과 특정 역사인물 폄훼‘ ’태양광 복마전 방송 청와대 외압 논란 회피‘ 등의 정파적 이념적 방송운영으로 계속 국민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더구나 총선을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공영적 성격의 정립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번 경우
반일감정을 이용한 국정실패 호도 논란과 탈원전 정책 논란은 별도 차원의 문제다.
KBS는 공정성과 객관성 결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즉각 잇따르자 방송 다음날 “자유한국당 로고를 사전에 걸러내지 못한 점을 사과드린다”며 사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자막 실수가 아니다.
영상 전체에 일부 글자나 영상이 잘못 표시됐다면 걸러내지 못한 실수라고 변명할 수도 있지만, 세가지 글자와 영상이 연속으로 이어진 영상이라면 다분히 의도적이다.
단순 실수로 보이는 경우에도, 즉 지난 4월 MBN의 ‘북 대통령’ 자막 오기나 연합뉴스TV의 ‘문 대통령 사진 밑의 북한 인공기’ 자막 경우에는 보도 간부와 책임자들이 즉각 해임되거나 정직 등의 조치가 취해졌다.
이들 방송은 민영이고 준공영임에도 바로 조치됐다.
그러나 KBS 수뇌부는 아직까지 말이 없다.
양승동 사장은 국회출석도 거부하고 있다.
청와대의 지시인가, 청와대를 믿고 있는 것인가?
더구나 야당에서 KBS의 총선 개입 주장을 하고 있고 시기적으로 그런 지적이 가능하다.
KBS는 현 정권에서 임명된 양승동 사장 체제에서 유례없는 대규모 적자와 시청률 큰폭 하락의 경영 실패를 스스로도 자인하고 있다.
경영진이 최근 작성한 ‘KBS 비상경영계획 2019’ 보고서에서다.
경영은 물론,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공적 의무 이행 실패가 확인된 경영진은 즉각 퇴진해야 한다.
그리고 중립적이며 전문성 가진 인사들로 ‘비상경영체제’를 꾸려야 한다.
이와 동시에 정치권은 즉각 ‘KBS 공정성 회복을 위한 지배구조’ 개편에 착수해 총선 전에 마쳐야 한다.
정치권이 정권의 전리품으로 여기는 KBS가 지속되는 한 국민의 수신료 거부운동 확산은 물론 국가 차원의 소모적 논쟁으로 국정 및 정치 혼란과 국민적 피해는 계속 쌓이기만 할 것이다.
KBS가 방송의 독립성을 지키면서 공영방송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여당도 야당도 간섭할 수 없는 지배구조를 제도화해야 한다.
공영방송이 바로 설 때 다른 모든 방송도 바로 서고 다른 형태의 언론에도 바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영방송의 진정한 주인인 모든 국민은 정치권이 공영방송의 지배구조 개선에 즉각 착수하도록 단호히 요구해야 한다.
그것은 권리이자 의무이다.
2019년 7월 20일
미디어연대(공동대표 이석우 조맹기 황우섭)